본문 바로가기

일반국민(안전,작업환경)

고시인성 방염기능 안전 작업복

※ 제안 제품명 : 고시인성 방염기능 안전작업복 개발
※ 내용/필요기능 

ㅇ 제품의 정의

고시인성 방염기능 안전 작업복이란 말 그대로 작업현장에서의 불꽃이나 화염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는 방염(Flame resistance) 기능성을 가짐과 동시에 작업자의 위치를 쉽게 파악 할 수 있도록 고시인성(high visible) 색상을 갖는 작업복을 말한다.

ㅇ 제품의 필요성

Oil & Gas 산업현장, 전기작업, 용접작업, Chemical관련 현장, 건축/건설현장 등 거의 모든 산업분야의 작업현장에서는 순간적인 불꽃의 발생에 의한 발화, 화재의 위험성이 있으며, 이에 따라 모든 작업자는 불꽃 및 화재에서 신체를 보호할 수 있는 방염 기능성의 작업복의 착용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모든 작업자는 작업현장에서 여러 가지 위험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눈에 쉽게 띄어 작업자의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어야 여러 위험요소들로부터 최소한의 보호를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기능성을 각각 또는 동시에 가지는 작업복의 착용은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서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ㅇ 현황

위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선진국에서는 작업복의 용도에 따른 각각의 성능규격을 정하여 이러한 규격에 적합한 제품을 제조하고, 착용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작업복 현실은 대부분 이러한 작업복 착용을 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착용을 못하고 있는 이유는 우선 가격문제, 안전에 대한 불감증, 법규의 미비 그리고 관련 제품 제조기술의 부족 등을 들 수 있다. 그리하여 일부를 제외하고 국내 대부분의 작업복은 필요성능과는 상관없이 일반 면 또는 T/C, Polyester 소재를 사용한 유니폼 개념의 의류를 작업복으로 착용하고 있어 작업자의 안전이 외면되고 있는 현실이다.

ㅇ 기술개발 필요성

산업현장에서 요구되는 안전작업복의 소재는 방염 후가공 cotton 100% 및 cotton 혼방소재, FR Viscose rayon, Modacrylic, m-aramid 및 p-aramid소재를 주로 사용한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이러한 소재들에 대한 제직 설계, 제직, 염색 및 후가공 기술이 미흡한 실정이다. 특히 작업복(Workwear)가 요구하는 Industrial washing조건에서 4급 이상의 세탁 견뢰도, High Visible 염색기술, 고내구성 후가공 기술 등이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국내에서 이와 관련된 기술개발 및 제품 개발은 가격이 매우 고가인 m-aramid 및 p-aramid 소재 위주로 전개되고 있어 실제로 작업현장에서 널리 사용하기에는 가격부담이 매우 큰 실정이며, aramid소재는 소재 특성상 염색 및 후가공이 매우 어렵고, 현장에서 요구하는 염색견뢰도는 전혀 내지 못하고 있으며, 특히 Hi-Visible 염색은 아직까지 거의 불가능하다. 따라서 산업현장에서 보다 현실적인 가격으로 널리 사용할 수 있는 제품의 개발 및 이를 위한 제품 제조 기술 개발이 시급하다 할 수 있다.

ㅇ 세계시장규모

세계 Workwear 시장은 일반복이나 브랜드가 강세를 보이고 있는 스포츠의류 분야에 비해 시장규모나 성장세가 한참 뒤떨어져 있다. 그러나 시장 자체는 여전히 증가세로, 2010년 기준 207억달러에 이르며, 2015년까지 255억달러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Workwear는 착용자가 실제로 구입하는 다른 의류 시장과 달리 착용자가 아닌 고용주가 주로 구매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디자인이나 패션성 보다는 내구성, 가격, 안전성 등이 구매 결정요인이 되고 있다. 그러다보니 B2B 거래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세계 인구증가율, 산업의 발전, 안전보호복의 수요 증대 등의 원인으로 앞으로 세계 Workwear 시장규모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로 미국 경제위기가 있었던 2008년 2009년을 제외하고는 성장률이 4% 이상이다. 특히 안전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안전 보호복의 수요 증가는 훨씬 클 전망이다.

 
※ 수요대상자
 
Oil & Gas 사업장 작업자, 전기관련산업 작업자, 용접작업자, Chemical 산업 작업자, 건설현장 작업자 등 대부분의 산업현장 작업자